[강의안] 기술특례상장 사례연구(IP관리를 중심으로)
1
0
[강의안] 기술특례상장 사례연구(IP관리를 중심으로)
본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법원로3길 25, 1층 (서초동, 태흥빌딩)
T : 02-514-0104 F : 070-4855-0102
E : info@blt.kr
인천지사) 인천광역시 연수구 컨벤시아대로 165, 포스코타워 빌딩 26층 (스테이지나인 송도 포스코타워점)
T : 032-710-5104 F : 070-4855-0102
E : info@blt.kr
ⓒ 2023. BLT Patent & Law Firm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특허법인 비엘티 | 대표자명: 유철현 | 사업자 등록번호: 752-86-01744
본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법원로3길 25, 1층 (서초동, 태흥빌딩)
T : 02-514-0104 F : 070-4855-0102 E : info@blt.kr
인천지사) 인천광역시 연수구 컨벤시아대로 165, 포스코타워 빌딩 26층 (스테이지나인 송도 포스코타워점)
T : 032-710-5104 F : 070-4855-0102 E : info@blt.kr
ⓒ 2023. BLT Patent & Law Firm All Rights Reserved.
본 강의안에는 특허법인 비엘티의 기술특례상장 노하우가 담겨있습니다.
IP관리를 중심으로 기술특례상장, 성공기업 사례 연구, 기업가치 증대를 위한 IP 포트폴리오 관리전략 등을 제공합니다. 또한, 기술특례상장 절차와 트렌드, 기술성 평가 대비전략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합니다.
기술특례상장은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많은 평가항목이 존재하고, 평가지침이 명확히 공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장예정일 몇 개월 전부터 기술평가를 준비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특히, 각 평가항목 별로 정해진 배점이 있고, 특정한 항목이 높은 평가를 받더라도 준비되지 않은 다른 평가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게 된다면 전체적으로 최소 상장요건인 A와 BBB 등급을 받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기술기반의 스타트업이라면 시리즈 A 투자 유치 시점부터 차근히 기술평가를 대비하여 평가항목들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평가자를 설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짧은 기술평가 기간 동안 하나의 기업이 수년에서 수십년에 거쳐 쌓아온 기술과 사업의 성과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평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특히, 새롭게 태동하는 기술의 수준과 시장의 규모, 성장성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사전 지식 없이는 정확한 평가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이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은 결국 기업의 대표 이사를 비롯한 핵심 인력들이기 때문에 내가 아는 것을 평가자들도 알고 있을 것이라 속단하지 말고, 객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라인을 통해 우리 기업이 보유한 기술의 우수성과 사업성을 평가자에게 명확히 제시해야 합니다.
숫자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결국 기술평가는 각 항목별로 등급을 부여하고 전체 35개의 항목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전체 평가점수와 평가등급을 산출합니다. 이 과정에서 각 평가항목은 결국 정량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평가항목 자체가 정량화된 수치를 대상으로 하는 기술제품의 수명이나, 연구개발 투자현황, 주력 기술제품 시장규모 등의 정량적인 요소는 물론이고, 정성적인 요소인 기술의 신뢰성이나 기술의 자립도, 혁신성 등의 항목도 최종적으로는 특정 기준에 따라 수치화하여 평가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평가위원이 원하는 숫자에 부합되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기술특례상장 컨설팅 페이지를 참조해주세요.
문의 : IPO@BLT.kr
강의안은 아래 클릭